Address: 239 Abiso Ave, San Antonio, TX 78209
|
주소: 239 Abiso Ave, San Antonio, TX 78209
연락처: 210 824-7791 (바니) 입장료: 무료 |
"Free Museum"
The name of this museum is very odd; Toilet Seat Art Museum. We visited this garage... oops, I meant the free museum to check out what was hiding inside. |
"무료 박물관"
이라고 써 있는 이 곳은 그 이름도 기이한 "변기 뚜껑 예술 박물관" 입니다! 우리는 안에 수많은 변기 뚜껑이 걸려져 있는 창고.. 아니, 무료 "박물관"이 있다는 소식을 접하고 그 진귀한 모습을 구경하기 위해 샌 안토니오를 찾았습니다. |
Here's Barney Smith, the founder and artist of the museum. He walked with his cane and opened the museum gate. He is 95 years old!
Between 10 a.m. and 11 a.m. we called Barney to see if we could visit his museum. He said "I am still in the bed~!" After we had lunch, we called him again. He said, "I am shaving now~!" He was very busy to get ready for his customers. When we saw him in person, he looked very professional. Not only had he shaved, but he also waxed his hair and was dressed nice. The apron he is wearing had a pocket which had a cordless phone (it acted like his cellphone) The phone kept ringing from the costumers while we were appreciating his masterpieces. |
올해 나이 95세. 바니 할아버지께서 지팡이를 짚고 창고를 여셨습니다.
아침 10시에서 11시 사이, 우리는 바니 할아버지께 오늘 박물관 구경을 하러 가도 되냐고 여쭈었죠. 할아버지는 "나 아직 침대에 누워있어~" 라고 하셨어요. 그래서 그럼 한 두시간 후에 다시 연락을 드린다고 했죠. 점심 식사 후 다시 연락을 드리니, "나 지금 면도 중이야~" 하셨죠. 할아버지는 손님 맞이 꽃단장으로 바쁘셨던 거에요. 할아버지를 직접 뵈니 면도 뿐만 아니라 깔끔한 옷차림에 머리 손질까지.. 손님을 대접해 주는 박물관이라는 느낌이 딱! 들었네요. 할아버지께서 매고 있는 앞치마 주머니 안엔 핸드폰도 아닌, 무선 전화기가 들어있어요. 우리가 박물관을 구경하는 시간에도 박물관에 오고 싶어하는 여러 사람들이 할아버지께 전화를 걸었어요. |
He is a very famous guy. He got interviews from main broadcasts in the United States and we could see him on the various newspapers and magazines.
|
할아버지는 유명인사셨어요. 미주의 유명 방송사에서 인터뷰를 하고, 온갖 신문과 잡지에 할아버지의 이야기가 실려 있었죠.
|
Guess how many toilet seats are in there.
|
총 몇 개의 변기 뚜껑들이 걸려있을까요?
|
It is over 1200!
Want to take a closer look at his arts? |
자그마치 1200개가 넘는다고 합니다!
여러가지 주제로 만든 할아버지의 작품을 잠시 감상해 볼까요? |
This is his first work. (left side)
Also, you can see the piece Barney made for his wife. His wife and daughter departed this life already... |
할아버지의 첫 작품입니다. (왼쪽)
할아버지의 부인을 위해 만든 작품도 보이네요. (오른쪽) 할아버지의 부인과 딸은 이미 세상을 떠났대요.. |
There are some pieces for children!
Ninja Turtles and Pocket Monster! Bring your children and enjoy his art! |
아이들을 위해 만든 작품들도 있답니다!
그 유명한 닌자 거북이와 포켓몬스터! 아이들과 함께 가도 좋아요~! |
You can also see people's history in this museum as others.
|
박물관답게 사람들의 세월이 묻어나는 작품들도 엿볼 수 있고요.
|
The visitors can sign on the toilets and write a little note for Barney. However, can I choose any toilet seat? The answer is "no."
Each individual toilet seat has different theme and numbers. Visitors can sign depends on their backgrounds. Barney asked us the questions like where we were from, what was our job, and what we do for a living. Then, he chose one toilet seat for each person. Barney remembered every single toilet seat's location and stories. Since his memories are extremely great, you might be shocked. I thought it was because he carved his time and memories on the toilet seats. Since Chris was in the Air Force, Barney gave him the toilet seat in the picture above. |
할아버지의 박물관에 온 사람들은 변기뚜껑에 방명록을 남길 수 있답니다. 아무 변기 뚜껑에 할 수 있느냐 하면, 아닙니다!
1200개가 넘는 변기 뚜껑 위의 작품들은 제 각기 주제가 다르지요. 사람들은 자신의 주제에 맞는 변기 뚜껑 위에 글을 남길 수 있답니다. 할아버지는 손님들에게 몇 가지 질문을 해요. 어디서 왔는지, 직업이 뭔지, 그 전엔 무얼 했는지 등. 그리고는 그에 꼭 맞는 변기 뚜껑을 알려 주신답니다. 할아버지는 어떤 변기 뚜껑이 어디에 있는지 모두 기억하는 눈치셨어요. 변기 뚜껑에 얽힌 이야기들까지! 기억력이 너무 좋으셔서 깜짝 놀라게 되는데 (어떤 손님은 기겁을) 할아버지는 자신의 시간을 한땀한땀 새기셨기 때문에 가능했던 것이 아니었을까요? 크리스는 공군으로 일한 적이 있었기에 공군을 위한 변기 뚜껑 위에 글을 남겼답니다. |
Let's look around more. There's the pieces for different regions and nations.
|
지역별, 나라별 변기 뚜껑도 있었지요.
|
We found the Chinese toilet seat! We were a little disappointed because there was no Korean...
|
중국 변기뚜껑도 있는데 왠지 한국 변기 뚜껑을 찾아 볼 수 없어 섭섭했습니다.
|
However, Barney asked Sohee where she originally came from. Then he turned on the TV with his cane! It was a perfect shot!
|
그러던 때, 할아버지가 소희는 어디에서 왔냐고 물으셨지요. 한국에서 왔다고 하니 한국에서도 자신을 인터뷰 하러 왔었다며 티비를 켜셨어요.
지팡이로 전원을 딱! 켜시고! |
Surprise!
He was on a Korean TV program! He was more famous than we thought! Sohee felt like he was her friend after she watched the show. We could see why he did not have the toilet seat art for Korea. No one could buy his masterpieces. It was his rule. Also, every single piece has its own number in order Barney completed. There were the toilet seat he carved a Korean map in and wrote some Korean and its number was 624. Barney remembered the exact number for the piece. The Korean show was showing the piece Barney made on the TV and also the MC told the audience they had to send it back to Barney. However, Barney could not get it back.. |
짜잔!
정말로 한국의 전파까지 섭렵하셨습니다!방송으로 보니 더 친근하게 느껴지는 바니 할아버지였어요. 그런데.. 한국을 주제로 한 변기 뚜껑은 왜 없었는지 방송을 통해 알 수 있었어요. 할아버지의 변기 뚜껑은 어느 누구도 어떤 값을 주고도 살 수 없었지요. 변기 뚜껑 하나하나에는 이름들이 다 있었고 몇 번째로 만들어져 있는지 숫자도 적혀있었어요. 한국을 주제로 지도도 그려 넣고 할아버지께서 직접 한글을 새겨 넣은 변기 뚜껑이 있었는데 그 번호는 624. 할아버지는 번호를 정확히 기억하고 계셨죠. 방송에는 그 변기 뚜껑이 소개되고 있었어요. 바니 할아버지께 돌려줘야 한다고까지 이야기 하네요. 하지만 할아버지는 돌려받지 못했어요. |
Barney gave me the piece which has second name as "replacement of 600+24." I could see many Korean people already visited the museum.
Barney gave me a sharpie, instructed me where I could sign, and asked me if I could trace other people's writing which erased by time. I wrote that I am so sorry about his story about the original piece for Korean and tried my best to trace all of the writings. I was very sadly sorry for him. Barney kept telling me thank you for my work. |
할아버지는 그 대신 "600+24 대체" 라고 새겨진 변기뚜껑을 저에게 내미셨어요. 그 변기 뚜껑엔 할아버지 박물관을 다녀간 한국 사람들의 흔적들이 있었어요.
저에게 사인펜을 주시며 저의 글은 어디에 적는게 좋을지 말씀해 주시곤, 지워져가는 다른 사람들의 글들 위에도 사인펜으로 다시 써 줄 수 있냐고 부탁하셨어요. 저는 한국 티비 프로그램에서 할아버지가 새긴 시간을 돌려주지 않아 대신 사과드린다는 말과 함께 다른 사람들의 글들도 모두 명확히 적어서 할아버지께 돌려드렸어요. 글을 쓰면서도 마음이 짠했네요. 할아버지는 고맙다는 말을 몇 번을 하셨는지 몰라요. |
He appreciate people's donation. He made many pieces with the objects people donated.
Barney asked us if we could send him a Korean car license plate and some souvenirs. He said he would put our names on the new piece. We promised him we would! |
여러 나라 사람들이 가져다 준 기념품과 소품들로 만든 변기 뚜껑도 있었습니다.
할아버지는 우리에게 한국에 가거든 한국의 차 번호판과 다른 기념품들을 가져다 주면 우리의 이름을 새겨 작품을 하나 만드신다고 하셨어요. 우리는 잊지 않고 꼭 그렇게 하겠다고 약속했답니다. |
Guests need to put their names, addresses, and the toilet seat number they signed.
|
손님들은 이름, 주소, 그리고 자신의 방명록을 새긴 변기의 번호를 써야 해요.
|
He kept all of the guest books as you can see the picture above.
|
그리고 할아버지는 모든 손님들의 방명록을 보관하고 계신답니다.
|
On the bottom of the picture, it said "The Mayor and City Council, do hereby proclaim and declare that May 25, 2016 is commemorated and recognized as "Barney Smith Day" in Alamo Heights, Texas on the occasion of his 95th birthday, celebrating this significant milestone in his life. "
Happy birthday Barney! and thanks for letting us view your awesome arts for free! |
5월 25일은 할아버지의 95번 째 생신을 맞아 알라모 하이츠 도시에서 "바니 스미스의 날" 로 공식 지정한 날입니다.
할아버지, 이렇게 멋진 무료 박물관을 열어 주셔서 감사합니다! |
Chris Rates this: 10/10
|